티스토리 뷰

반응형

 

고기집에 가면 늘 나오는 것이 달걀찜이에요. 계란찜이라고 하기도 하죠.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달걀찜, 또는 계란찜(Egg Custard)은 주로 아시아에서 인기가 많은 음식입니다.

 

달걀찜 기원은 여러 나라에서 다르게 나타나지만, 특히 중국이 원조로 꼽힙니다. 중국에서는 이를 "茶碗蒸"(차완즈롱)이라 부르며, 일본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차완무시"라고 불립니다.

 

 

중국의 차완즈롱 (茶碗蒸)

 

중국에서의 달걀찜은 약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집니다. 

 

차완즈롱은 전통적인 중국 요리로, 주로 왕실이나 귀족들이 즐기던 고급스러운 음식이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노른자와 흰자를 따로 섞어서 만든 후, 고기나 해산물 등을 넣어 찐 형태였으며, 탕수육처럼 조리하는 방식이 있었고, 중국의 궁중 요리로 발전해 왔습니다.

 

차완즈롱의 주요 특징은 부드럽고 실크처럼 매끄러운 질감인데, 이는 온도와 시간 조절에 의해 완성됩니다. 이 조리법이 일본으로 넘어가면서 차완무시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AI 그림

 

일본의 차완무시 (茶碗蒸し)

 

일본에서는 "차완무시"라는 이름으로 유명합니다. "차완"은 일본어로 찻잔을 의미하며, "무시"는 찌는 것을 뜻합니다.

 

일본에서 차완무시는 에도 시대(17세기)부터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중국의 차완즈롱이 일본에 전파된 후 일본의 고유한 재료와 스타일로 변형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조개, 닭고기, 새우, 버섯, 은행 등 다양한 재료가 들어간 계란찜을 즐깁니다.

 

AI 그림

 

한국의 계란찜

 

한국에서도 계란찜은 아주 인기 있는 가정식 요리입니다. 한국식 계란찜은 일본식 차완무시보다 더 진하고, 국물도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금, 고춧가루, 대파, 김치와 같은 재료를 넣어 국물 맛을 낸 후 찌는 방식으로, 대개 반찬으로서 식사와 함께 즐깁니다.

 

한국에서 계란찜은 일본의 차완무시와는 달리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가정식으로 자주 등장하며, 많은 사람들이 밥과 함께 즐깁니다.

 

결국 역사적으로 보면, 중국에서 차완즈롱이 궁중 요리로 시작되었으며, 이 요리가 일본과 한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차완무시로 변형되어 에도 시대부터 대중화되었고, 여전히 일본 전통 요리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한국에서도 일본의 영향을 받았지만, 특유의 고유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오늘날까지 사랑받고 있습니다.

 

달걀찜의 원조는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일본과 한국으로 전파되어 각 나라의 문화와 입맛에 맞게 발전해 온 요리입니다.

반응형